심리학 개론21 알고리즘 (Algorithm)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련의 절차라고 흔히들 정의한다. 이 일련의 절차는 하나씩 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 (또는 기계) 이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절차들이다. 그러나 이런 절차를 시행하면 문제 해결이 보장된다 (제대로 만든 알고리즘이라면). 알고리즘이라는 말은 9 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이름 (Al-Khwarizmi,대수학 (algebra) 의 아버지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에서 유래된 말이고 요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관련되어 가장 많이 쓰인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이다. 같은 알고리즘은 여러가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할 수 있고 풀로 차트 (Flow chart) 로도 표현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개념은 물론 컴퓨터 프로그램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2023. 2. 22. 마음이란 무엇인가? - 꿈과 영혼과 이성과 감정 “마음이 무엇인가?” 는 심리학의 궁극적인 질문이다. 마음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종교와 철학과 과학 등등의 영향 등으로 변화해왔다. 마음 (Mind) 은 영혼 (혼, Spirit, Soul) 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영혼은 고대 이집트나 중국 문헌에서도 볼 수 있는 아주 오래된 개념인데 그 시작은 꿈이나 환각같은 경험을 통해서 사람의 일부가 몸과 분리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서 생긴 개념이라는 설도 있다. 몸은 잠자리를 떠나지 않았는데 꿈 속에서 멀리 떨어진 곳을 갔다 왔다거나 또는 죽은 사람을 만나는 꿈을 꾸면서 육체와 분리되고 또 죽은 뒤에도 남아있는 영혼의 존재를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마음 (영혼) 은 몸과 분리되는 사람의 일부라는 생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플라톤은 영혼의.. 2023. 1. 13. MBTI 성격 분류법의 문제점 MBTI 성격 분류법의 문제점 MBTI 성격 테스트는 가장 많이 쓰이는 성격 분류법 중 하나 이지만 (특히 요즘 한국에서) 가장 과학적 근거가 빈약한 성격 테스트이다. MBTI 는 사람들의 성격 차이에 대하여 관심이 많던 마이어스 (Myers) 와 브리그스 (Briggs) 모녀가 (마이어스가 딸이다) 20세기 초반에 만든 성격 분류법이다. 스위스 정신과 의사인 융의 아이디어를 응용한 것이다. 융도 유명하긴 하지만 과학적인 심리학자라고 하기 어렵다. 상상력을 많이 발휘해서 심리학 개념을 만든 사람이다 (예를 들어 집단 무의식). MBTI 는 사람의 성격을 1. 외향적 (Extraversion) 아니면 내향적 (Introversion) 으로 구분하고 2. 세상 (정보) 을/를 있는 그대로 객관적이고 세세하게.. 2022. 3. 27. 행복 심리학 2 – 행복 측정의 문제점 행복 심리학 2 – 당신은 얼마나 행복한가? 행복을 공부하는 심리학자들은 기본적으로 “당신은 얼마나 행복한가?” 에 대한 사람들의 응답에 기대해서 연구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주관적” 웰빙 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이다. 그런데 “당신은 지금 얼마나 행복한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너무 현재 상황에 따라 좌우되는 문제가 있다. 식사 전과 식사후에 다른 답이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까지의 삶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라던 가 지난 4주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답을 하라던 가 하는 수식어를 달아서 행복도를 측정한다. 문제는 사람들의 기억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노벨상 심리학자 카네만은 사람들이 과거를 회상하며 얼마나 행복했는지 생각할 때 어떻게 기억을 왜곡되는 양상을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요약했다.. 2022. 3. 19. 행복 심리학 1 - 행복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다들 행복해지길 원하는데 막상 행복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명확한 답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오랫동안 바라던 것을 이루었을 때 행복하다고 말한다. 원하는 직장을 얻었거나 학교에 입학했거나 사랑을 이루었거나 승진을 했거나 복권에 당첨되었거나 금메달을 땄거나. 이런 일들은 그러나 자주 일어나는 일이 아니고 따라서 행복해 지기가 아주 어렵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소소하지만 쉽게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을 추구한다. 행복에 대하여 사람들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당신은 얼마나 행복한가? “ 라는 단순한 질문을 가지고 행복에 대하여 과학적 연구를 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행복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을 하려는 시도하고자 했고 그중 하나가 주관적 웰빙subjecti.. 2022. 3. 17. 휴리스틱스 (Heuristics) 휴리스틱이라는 개념은 이름도 생소하고 설명도 알쏭달쏭하다. 배경 지식 없이 교과서나 인터넷에 나오는 정의를 읽고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휴리스틱은 판단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사람들이 직관적 (그리고 습관적) 으로 쓰는 사고방법이기 때문에 사실 다 알고 있는 개념이다. 휴리스틱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두가지 예,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과 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 을 생각해 보자.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는 대표적 사례 (또는 Prototype) 를 사용하여 판단이나 추측을 하는 생각습관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처음보는 동물을 보면 사람들은 .. 2022. 3. 7. 매슬로우의 자아실현 매슬로우의 자아실현 동기 심리학에 관련된 이론 중 대중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 매슬로우 (Abraham Maslow 1908-1970) 의 피라미드론 (Hierarchy of Needs) 일 것이다 (사실 피라미드의 비유 자체는 매슬로우가 한 것이 아니라 후에 생긴 것이라고 하지만). 이 피라미드의 바닥에는 식욕, 수면욕등 생물학적으로 필수적인 동기들 (1. Physiological Needs) 이 놓여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제일 먼저 이런 욕구들이 충족이 돼야 그보다 위에 있는 욕구들에 대하여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위에 안전과 안정에 대한 욕구 (2. Safety & Security) 가 있고, 그 위에 사랑이나 소속감 등 사회적 욕구 (3. Social Needs) 가 있다. .. 2021. 6. 16. 기억 상실증 - 순행성 기억 상실증 과 역행성 기억 상실증 순행성 기억 상실증 (Anterograde amnesia) 과 역행성 기억 상실증 (Retrograde amnesia) 기억 상실증의 증상은 역행성 기억 상실증 (Retrograde amnesia) 과 순행성 기억 상실증 (Anterograde amnesia) 으로 나눈다. 역행성 기억 상실증 (Retrograde amnesia) 은 기억 상실증이 발병한 시점 (예를 들어 두뇌의 손상된 시점) 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문제이다. 두뇌의 손상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과거의 기억을 지웠다는 의미로 역행성 이라는 용어를 쓴다. 기억이란 신경세포간의 연결로 저장되니 특정 기억을 저장하고 있는 세포들이 파괴되면 그 기억을 잃게되는 것이다. 반면에 순행성 기억 상실증 (Anterograde a.. 2021. 1. 6. 기억력의 천재들 기억력의 천재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력이 나쁨을 한탄한다. 천재적인 기억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암기력에 비중을 많이 두는 시험을 준비 해야 하는 학생들은 특히 그런 생각을 할 것이다. 교과서를 한 번 읽고 내용을 다 기억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천재적인 기억력을 가진 사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 S 로 알려진 러시아 (구소련) 의 Shreshevsky 이다. 그의 기억력은 심리학자인 루리아가 쓴 책 (The Mind of a Mnemonist) 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S 는 모스크바의 한 신문사 기자였는데 회의 시간에 그날 취재 해야 할 일 들을 필기를 하지 않는 것을 본 상사가 화를 내자 S 는 오히려 다른 사람들은 한번 들은 것을 다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에 놀.. 2020. 12. 31. 조작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 형성 조작적 조건 형성도 고전적 조건 형성처럼 고약한 이름을 때문에 복잡하게 느껴지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결과학습’ 이다.내가 이런 행동을 하면 저런 결과가 생길 것이다 라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다. 결과 (보상 또는 벌) 에 따른 특정 행동의 증가 또는 감소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Conditioning 이라는 말이 특정 조건 하에 생기는 행동 변화를 의미하는 건데 그 특정 조건이라는 것이 결국 학습이다. 그러나 조심해야 할 것은 꼭 의식적으로 결과를 바라고 특정 행동을 하는 것을 배운다기 보다는 행동과 결과의 무의식적인 연결로 볼 수 있다. 조작적 조건형성을 처음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람은 Thorndike 이다. 그는 고양이를 안에서 열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는 덫에 가둬놓고 어떻게 빠져 .. 2020. 12. 30. 고전적 조건형성 러시아 (구소련) 의 생리학자 파블로프 (노벨상도 받았다) 는 개를 실험 대상으로 쓰면서 침샘 분비를 포함한 소화 과정을 연구하다가 골치아픈 문제에 맞닥뜨렸다. 음식에 반응하여 침을 분비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개가 차츰 음식을 주는 연구원을 보고 침을 흘리기 시작한 것이다. 파블로프는 이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유명한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애매하고 주관적인 심리적 연구를 회피하고 싶어했던 당시 심리학자들에게 영감과 이상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고전적 조건 반사 형성을 가장 간단히 표현하면 무의식적 연상 학습이다. 관계 없던 두가지 자극이 반복적으로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연결 (associate) 된다는 것이다. 가장 기초적인 학습 현상인 것이다. 학습 심리.. 2020. 12. 26. 행동주의와 학습 심리학 학습 심리학의 역사적 배경 1 - 행동주의 행동주의는 20세기 중반 (대략 1920 – 1970) 미국 심리학계에서 유행했던 과학 철학이자 연구 방법론이다.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어려우니 행동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학파이다. 행동주의는 내성법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내성법 (introspection) 이란 현대 심리학의 첫번째 연구 방법으로서 말 그대로 안 (마음) 을 성찰하는 것, 즉 내가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스스로 관찰하는 방법을 말한다. 심리학의 첫번째 연구 방법이 내성법인 것은 생각해 보면 아주 당연한 일이다. 모든 사람이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관찰한다. 문제는 내성법의 결과가 주관적인 데이터라는 것이다. 당시 왓슨 같은.. 2020. 12. 19. 이전 1 2 다음